전각소개
|
관음전(觀音殿) 관음전은 조선 초기(1400년경) 건축양식으로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을 모신 법당이다. 관세음보살은 이승에서 고난받는 중생의 소리를 눈으로 보고, 그 고난으로부터 중생을 구제하는 보살이다. 이와 같은 관음보살의 신앙은 대표적인 민간신앙의 하나다. 원래 922년 전단향목(栴檀香木)으로 만든 관음보살상이 안치되어 있었으며, 1674년과 1701년 그리고 1796년에 각각 개금(改金)을 하였기에 이로써 임진왜란의 병화(兵火)에 관음전이 불에 탈 때도 관음상은 안전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언제 어떻게 없어졌는지 알 수 없다. |
십일면관음보살상 |
관음전 연화문 |
|
극락전(極樂殿) 아미타(阿彌陀)부처님을 모시는 법당. 이 법당은 김대성이 불국사를 중창한 750년경 6칸으로 건립되었으나 1593년 임진왜란 때 불에 타 버린 것을 1750년에 중창에 중창하고 1925년에 중수하였다. 건축양식은 조선 후기의 다포계이며, 정면 3칸, 측면 3칸의 이 건물은 안에 높은 기둥 네 개를 세웠고, 안쪽 두 기둥 사이에는 후불벽(後佛壁)을 세워 벽화(壁畵)를 그렸다. 본래의 벽화는 1514년에 중수한 기록이 있고, 지금의 후불벽화는 1973년 중건 때 조성한 것이다. 극락전에서 대웅전으로 올라가는 길에는 세 줄로 된 16단의 계단이 있으며, 이 48개의 계단은 아미타부처님의 48대원(大願)을 표현한다. 극락전 앞 석등(長明燈)이 단아하면서도 매우 아름답다. 장명등은 부처님의 자비와 광명을 중생들에게 밝혀주는 등불이다. 대웅전 앞 석등과 그 모양이 똑 같아 동시에 제작된 것을 알 수 있다. 아미타 부처님의 세계는 극락정토(極樂淨土)이므로 법당 이름을 극락전이라고 한다. 이 법당에 모셔져 있는 금동아미타여래좌상(金銅阿彌陀如來坐像)은 국보 제27호로 8세기 중엽 통일신라시대의 작품이다. 당시의 탁월한 주조(鑄造)기술을 보여주는 이 불상의 높이는 1m77cm로 본래는 광배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
아미타여래좌상(국보 제27호) |
극락전 복돼지(현판 뒤에 있음) |
|
나한전(羅漢殿) 부처님의 제자상을 모신 곳으로 열여섯 분을 모셨으므로 16나한전 또는 16응진전(十六應眞殿)이라고도 한다. 1593년 왜구의 침략으로 타 버린 뒤 1647년에 나한상을 조성하고 전각을 세웠으며, 1760년 중창 불사 때 현재의 곳으로 옮겼으며 1973년에 중수하였다. |
| |
|
대웅전 보물 제1744호 석가모니부처(釋迦牟尼佛)를 모신 법당이며, 대웅(大雄)은 석가모니불의 덕이 큰 것을 표현하는 덕호(德號)이다. 수미단(須彌壇) 가운데 안치되어 있는 목각(木刻)의 석가모니불상 좌우에는 목각의 미륵보살(彌勒菩薩)상과 갈라보살(羯羅菩薩)상이 협시(脇侍)하고 있고, 그 좌우에는 흙으로 빚은 가섭(迦葉)과 아난(阿難)의 두 제자상(弟子像)이 모셔져 있다. 미륵보살(彌勒菩薩)은 미래의 부처이며, 갈라보살(羯羅菩薩)은 과거의 부처이다. 이는 과거.현재. 미래의 삼세(三世)부처님이 불국사라고 하는 부처 세계에 함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석가상(釋迦像)과 두 보살상(彌勒菩薩 . 羯羅菩薩) 그리고 두 제자상(像) 가섭(迦葉)과 아난(阿難)의 복장기(腹藏記)에 의하면 이 5구(五軀)의 상(像)은 681년에 조성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1593년 임진왜란 당시 대웅전이 소실(燒失)되었을 때, 함께 불에 탓을 가능성이 있고, 그렇다면 다섯 구의 상은 1659년 대웅전을 중건할 때 새로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1730년과 1769년에 각각 도금(鍍金)을 하였다. 대웅전은 681년 4월 8일 낙성(落成)되었으며1436년-1470년 . 1564년에 중건하였고, 1765년에 중창하였으며 현존하는 건물은 이때 세워진 것이다. 통일신라시대 쌓은 기단 위에 정면5칸, 측면 5칸에 다포계(多包系)의 팔작(八作)지붕 건물이며, 내고주(內高柱)와 뒷면 고주 사이에는 후불벽(後佛壁)을 설치하여 벽화(壁畵)를 그렸다. 조선 후기 불전(佛殿) 건축의 대표적 건물이다. 불국사 대웅전은 창건당시 기단과 석등 등의 석조물이 보존되어 있으며, 창건 당시의 유구 위에 영조 41년(1765)에 중창된 건물로 중창기록과 단청에 대한 기록이 함께 보존되어 있는 매우 중요한 건축물이다. 대웅전은 정면 5칸, 측면 5칸의 다포계 건물로 기둥을 생략한 내부 공간 구성 및 살미첨차의 초화문양(草花文樣)과 봉황(鳳凰) 머리 조각, 평방에서 돌출된 용머리 조각 등 내·외부를 매우 화려하게 장식한 우수한 불전으로 그 가치가 크다. |
|
|
무설전(無說殿) 경론(經論)을 강술(講述)하는 강당, 말로써 경론을 강술하는 곳 임에도 무설(無說)이라고 한 것은 진리의 본질과 불교의 깊은 뜻이 언어라고하는 수단으로써는 도달 할 수없는 언어도단 (言語道斷)의 경지임을 표현한 것이다. 670 년 개창(開創)되자 중국에서 돌아온 의상(義湘) 대사가 최초로 강론을 하였다. 1593년 임진왜란 때 불에 탄 것을 1648년과 1708년에 중건하여 1910년까지 보존되어 왔으나, 그 뒤 허물어 진 채 방치되었다가 1973년 불국사 복원 때, 유지(遺址)의 기단 위에 옛 크기대로 32 칸으로 지은 것이다 건물 양식은 맞배집으로서 조선에 속한다. |
무설전 영산회상도 | 교각 지장보살상 |
|
범영루(泛影樓) 범영루는 750 년경 김대성이 불국사를 중창할 때 건립하였고 1593년 임진왜란으로 불에 탄 것을 1612 년과 1688 년에 각각 중건하였으며, 현재의 건물은 1973 년 불국사 복원 때 정면 1 칸, 측면 2 칸, 3 층의 옛모습 그대로 중건한 것이다. 범영루에 지금은 법고(法鼓)가 매달려 있으나 원래는 범종각(梵鐘閣)으로써 범영루는 범종각의 이름이다. 누각의 모양을 하였으므로 루(樓)라 하였고 범영(泛影)은 범종의 소리를 그림자에 비유하여 범종의 소리가 온 누리에 번져서 넘치는 것을 형용한 말이다. 최초의 이름은 수미범종각(須彌梵鐘閣)이라고 한다. 이는 수미산(須彌山) 모양의 팔각(八角)정상에 108 명이 앉을 수 있도록 누를 짓고 아래는 오장간(五丈竿)을 세울 수 있도록 설계하였으므로 붙여진 이름이다. 수미산은 세계의 중심에 위치하고 그 정상은 욕계(欲界)33 천의 위이다. 108 이라는 숫자는 인간의 번뇌를 통틀어서 하는 말이다. 그러므로 수미범종각이라는 이름은 소리가 33 천의 온 세상에 울려 퍼져 인간의 모든 번뇌를 씻어 없애주는 것을 뜻한다. |
|
범종각(梵鐘閣) 범종은 법구사물(法具四物) 중의 하나로 중생들에게 부처님의 가르침을 전하는 도구이며, 시간을 알리거나 공양과 예배를 알리는 기구이다. 이 범종의 천판(天板)에는 한 마리의 용으로 뉴(鈕)를 두고 그 옆에 음통(音筒)이 마련되어 있으며 종신(鐘身) 상부에는 두 점선을 일정한 간격으로 돌린 상대(上帶)를 돌려는데, 그 두 점선 사이 칸 안에 연당초문을 돋을무늬로 채우고 그 아래 상대와 같은 대(帶)로 사방위에 네 개의 정방형의 연곽(蓮廓)을 마련하고 각각 그 안에 9 개의 꽃잎 가운데 유두(乳頭)모양의 꼭지 둔 연뢰(蓮蕾)를 두었다. 또한 종신 허리 부분에는 비천인상 4 개를 유곽과 일직선을 이루는 곳에 돋을 문양으로 배치하였고 그 사이 두 곳에 연꽃문양의 당좌(撞座)를 표현하였으며, 종구(鐘口)에는 상대(上帶)처럼 하대(下帶)를두었는데 문양에서 차이가 있다. 이러한 전체적인 형태는 국보 제29호로 지정된 771 년에 만든 "성덕대왕신종" 일명 '에밀레종'(높이 333.cm)을 모방해서 만든 근세의 작품이다. |
|
불국사강원(승가대학) 불국사강원(승가대학)은 1970년대 초 선교일여, 정혜쌍수의 수행기치를 주창하신 성림당 월산 대종사께서 후학양성의 큰 원력을 세워 당시 대강백이신 범룡, 운기스님을 모시고 강의를 시작하여 현재 약 40년의 역사를 지닌 명문 강당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강원은 조선시대부터 약 300년 동안 한문원전 위주의 훈고학적 교육의 방법을 고수하여 왔다. 그러나 이제는 시대의 변화에 맞추어 현대사회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지식의 습득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불국사승가대학은 우선 교육원의 ‘승가대학 교과목개편안’을 수용하여 강의를 시작한다. 승가의 교육과 수행은 오래전부터 큰절에서 이사겸수理事兼修로서 이루어져 온 것이 전통이다. 그래서 불국사승가대학은 ‘교과개편안’을 수용하여 현대적인 불교학문의 폭은 넓히되 승가의 기본인 예불, 간경, 습의, 참선 등의 실참 수행을 한다. 불국사강원은 보다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승가교육의 장을 마련하여 미래 한국불교를 이끌어갈 인재를 육성한다. 현재 학장으로는 유ㆍ불ㆍ선에 정통하신 일해 덕민 스님이시다. |
|
불국사박물관 불국사박물관은 천왕문 우측 언덕 3500평 부지에 지상1층·지하1층 규모로 1996년 석가탑 수리과정에서 발견된 국보 제126호 사리장엄구와 통일신라·고려·조선시대의 기와류와 공예품 등을 전시해 불국사의 역사와 문화를 살펴볼 수 있게 하였으며 독립운동가 후손인 학산 남석환 선생님이 평생 수집해 기증하신 유물 200여 점 중 동방의 종교, 불교와 서방의 고전 미술이 결합된 간다라 불상관을 마련하여 실크로드의 자취를 엿볼 수 있게 하였다. 특히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판 인쇄물인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 1966년 불국사를 떠났다가 다시 불국사로 돌아와 박물관에 전시되고 있다. |
무구정광대다라니경(국보 제126호) |
학산 남석환 선생 기증 유물 중 일부 |
|
불국선원 불국선원은 1974년 향곡스님을 조실로 모시고 안거에 들면서 시작됐다. 현재의 선원 건물은 1976년 당시 불국사 주지였던 월산(月山)스님께서 만든 것이다. 큰방과 염화실, 객,실 지대방, 간병실, 다각실, 식당 등으로 구성되어 대지 1300여평에 건평 156평으로 지어졌다. 불국선원은 짧은 역사에도 범룡스님, 송담스님, 일타스님, 정일스님, 혜정 스님 등 여러 명안종사가 거쳐 가며 선풍을 떨쳤고 경허 만공 보월 금오스님으로 이어지는 덕숭선맥을 이은 월산스님의 지도와 가르침으로 일시에 번성기에 접어들었다 하겠다. 1999년 하안거 때부터 시작된 일반정진을 지금껏 이어가고 있다. 새벽 3시 기상, 저녁 10시 취침하는데 아침, 오전, 오후, 저녁 참선하며 틈나는 시간에 운동과 등산을 병행한다. 현재 불국사 주지이신 종우 스님께서 선원장으로 주석해 계시다. |
|
불이문(不二門) 불이不二란 ‘진리는 둘이 아니다’는 뜻에서 유래한다. 이곳을 통과해야만 진리의 세계인 불국토에 들어갈 수 있음을 상징한다 하겠다. 생과 사, 만남과 헤어짐, 부처와 중생이 다르지 않고 근원적으로 모두 하나이다. 모든 분별을 떠나고 언어의 그물에도 걸리지 않는 절대의 경지를 상징으로 『유마경』에는 불이법문(不二法門)에 관한 이야기가 전해지기도 한다. 불이(不二)의 뜻을 알게 되면 해탈에 이를 수 있다 해서 해탈문이라고도 한다. 불교의 세계관에 따르면 수미산 정상에 들어서는 문으로 이곳을 통과하면 바로 도리천에 다다른다. 사찰에 따라서 이름이 다르기도 하다. 교리적으로 보면 불국사에서는 자하문(紫霞門)이 불이문의 자리라고 보면 된다. 청운교와 백운교를 거치는데, 이들 다리의 계단은 모두 33개로 도리천의 33천을 상징적으로 나타낸다. 이 문을 통과해야 부처의 세계에 도달할 수 있다. |
|
비로전(毘盧殿) 비로자나불(毘盧舍那佛)을 모신 법당이다. 751년경 18칸으로 건립되었으며, 1593년 임진왜란 때 불에탄 것을 1660년에 중건하였고 현재의 건물은 1973년 불국사 복원 당시 신라 때의 기단과 초석 위에 세웠다. 건축 양식은 조선후기에 속한다. 비로자나부처(毘盧舍那佛)님은 화엄세계(華嚴世界)의 본존불(本尊佛)로서 부처의 지혜가 태양과 같이 밝고 광대무변함을 상징한다. 이 금동비로자나불좌상은 국보 제 26 호로 8 세기 중엽 통일신라시대의 작품이다. 당시의 탁월한 주조(鑄造)기술을 보여주는 이 불상의 높이는 1m77cm이다. 원래는 광배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
금동비로자나불좌상(국보 제26호) |
비로전 현판 |
|
안양문(安養門) 아미타 부처님이 계시는 극락전으로 통하는 중문(中門)이다. 연화교, 칠보교(국보 제22호)를 올라오면 이 문으로부터 아미타 부처님의 세계인 극락정토가 전개된다. ‘안양’이라는 이름은 ‘극락’을 뜻한다. 751년 김대성이 불국사를 중창할 때 세워진 이 문은 1593년 임진왜란 때 타 버린 것을 1626년과 1737년에 중건했다. 현재 안양문은 정면3칸, 측면2칸으로 겹처마에 맞배지붕으로 되었다. 1964년에 새로 지어진 건물로서 고려 건축양식을 채택하였고 강릉 객사문과 도갑사 해탈문을 참고한 것이라 하겠다. |
|
일주문(一柱門) 사찰에 들어서는 산문(山門) 중에서 첫번째의 문으로 일주(一柱)라는 명칭은 기둥이 한 줄로 되어 있는 데서 유래된 말이다. 네 기둥[四柱]을 세우고 그 위에 지붕을 얹는 일반적인 가옥 형태와는 달리 일직선상의 두 기둥 위에 지붕을 얹는 독특한 형식으로 일심(一心)을 상징한다 하겠다. 사찰에 들어서기 전 세속의 번뇌를 불법으로 깨끗이 씻고 진리의 세계를 향해 일심으로 들어오라는 의미이다. 불국사 일주문은 원래 자리는 아니지만 1973년 중창 때 진입의 편의를 위해 현 위치에 조성되었다. 조선시대 다포식 건축양식을 따르고 있는데 다른 사찰에 비해 규모가 크다 하겠다. |
|
자하문(紫霞門) 석가모니 부처님이 계시는 대웅전(大雄殿)으로 통하는 중문(中門). 백운교와 청운교를 올라오면 이 문으로부터 부처님의 나라가 전개된다. 자하문은 부처님의 몸에서 비추는 자금광(紫金光)이 안개처럼 서린문이라는 뜻이다. 건립 연대는 분명치 않으나 기단의 주춧돌과 신방석(信防石). 문지방돌 등이 통일신라시대(676년 이후)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므로, 이 문도 그 무렵에 건립되었을 것이다. 그 후 1436년에 중수하였고, 임진왜란 때(1593년) 불타 버린 것을 1628년에 재건하였으며, 1630년에 중창하고, 1781년에 중건하여, 1966년에 크게 보수하였다. 넓은 석조(石造)기단(基壇) 위에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세워진 지금의 이 문은, 다포계(多包系)의 공포(栱包)를 짜 올린 팔각(八角) 지붕을 하고 있으며, 건축 양식은 조선 후기에 속한다.
|
|
좌경루(左經樓) 경(經)을 수장(收藏)했던 누각으로 추측된다. 1593년 왜구의 침략으로 소실(燒失)된 뒤 1612 년과 1690 년에 중건하였으나, 1904 년경 무너진 것을 1973년에 복원하여 목어(木魚)와 운판(雲板)을 설치하였다. 원래 목어(木魚)는 고사(庫司)의 방 앞이나 식당에 걸어 놓고 행자(行者)를 부를 때 두들기는 명고(鳴鼓)로, 뒤에 가서 경(經)을 독송할 때 사용하기도 하였다. 지금은 수중(水中)의 중생에게 불법을 전하는 법구(法具)이다. 특히 선원(禪院)에서는 물고기가 눈을 뜨고 있는 점을 들어 수행자가 항상 깨어 있기를 촉구하는 뜻을 지닌다. 목어(木魚), 법고(金鼓), 범종(銅鐘), 운판(雲板)과 함께 불전사물(佛殿四物)의 하나이다. |
목어 |
운판 |
|
천왕문(天王門) 사대천왕(四天王門)안에는 불법(佛法)을 수호하는 사천왕을 모셔 놓고 있다. 천상계(天上界)에서 가장 낮은 곳에 있는 사천왕천에 살면서 제석천왕의 지시에 따라 사천왕천의 동서남북 지역을 관장하는 임무를 맡고 있다. 그래서 사바 속세와 경계지간 가까운 곳에 마련 되었다. 천상의 수문장이라고 볼 수 있다. 불법과 세계를 지키는 사천왕을 봉안한 문으로써 가람(伽藍)의 삼문(三門) 중의 하나이다. 비파를 지니고 있는 신(神)은 동쪽을 지키는 지국천왕(持國天王), 손에 칼을 쥐고 있는 신(神)은 남쪽을 지키는 증장천왕(增長天王)이다. 서쪽을 지키는 신(神) 광목천왕(廣目天王)은 용(龍)을 쥐고 있고, 북쪽을 지키는 신(神) 다문천왕(多聞天王)은 탑(塔)을 들고 있다.
|
지국천왕, 증장천왕 |
광목천왕, 다문천왕 |